반응형

교육의 본질적 기능

 

슈프랑거는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1. 인격적 기능 (Affective Function): 학생들이 감성적으로 성숙해지고, 미적 감각과 심미적 감각을 발전시키며, 자기를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2. 지적 기능 (Cognitive Function): 학생들이 지식과 개념을 습득하며, 학문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 능력을 갖추는 것입니다.
  3. 사회적 기능 (Social Function):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이해하고, 집단에서 협동하고,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입니다.
  4. 기술적 기능 (Vocational Function): 학생들이 직업과 관련된 기술과 능력을 습득하고, 일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5. 물리적 기능 (Physical Function): 학생들이 건강하고 체력적으로 성장하며, 스포츠와 운동 등의 물리적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입니다.

슈프랑거는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이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모두 동등한 중요성을 갖는다고 주장합니다.

 

 

문화교육학자

 

슈프랑거는 문화교육학자로서, 교육이 개인의 발전뿐 아니라 문화의 전파와 발전에도 큰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1. 문화는 인간의 삶과 사고, 행동의 방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교육은 이러한 문화적 배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2. 교육은 문화를 전달하고, 이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
  3. 문화교육은 개인의 성장과 문화의 발전, 그리고 이 둘 사이의 조화를 추구해야 한다.
  4. 문화교육은 문화의 특성과 내용, 그리고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국민교육의 폭넓은 문화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5. 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나 기술적인 훈련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삶과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문화적인 가치관, 세계관 등을 전달하고,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한 창조적인 노력을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슈프랑거는 교육을 통해 개인의 발전과 함께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도야의 과정

 

  1. 관찰 (Observation): 개인이 주변 환경을 관찰하고 경험을 쌓는 단계입니다.
  2. 경험 (Experience): 관찰을 통해 쌓인 경험을 토대로 개인이 새로운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단계입니다.
  3. 개념화 (Conceptualization): 경험을 통해 개인이 새로운 개념을 습득하고, 지식을 확장하는 단계입니다.
  4. 분류화 (Classification): 개념화된 지식을 분류하고 조직화하는 단계입니다.
  5. 연관화 (Association): 분류화된 지식을 서로 연결시키고, 종합적인 이해를 발전시키는 단계입니다.
  6. 평가 (Evaluation): 연관화된 지식에 대해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평가하고, 발전시키는 단계입니다.
  7. 적용 (Application): 평가를 통해 개인이 새로운 문제나 상황에서 지식을 적용하는 능력을 갖추는 단계입니다.

슈프랑거는 이러한 도야의 과정을 통해 개인이 지식을 습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창조적인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교육이 이러한 과정을 유도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도 강조하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