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작적 조건형성

스키너라는 심리학자 들어보셨나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름은 몰라도 이 학자가 한 실험은 알고 계실텐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상자 안 비둘기'실험입니다. 상자 안에 비둘기를 넣고 먹이를 줄 때마다 버튼을 눌러야지만 먹이를 먹을 수 있게 만든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는데요. 처음에는 아무버튼이나 누르던 비둘기가 나중에는 보상과 연결되는 버튼만을 누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를 이용해서 인간에게도 적용시켜봤는데요.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칭찬을 해주면 다음번에 같은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반대로 벌을 주면 다음번엔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원리를 학습이론 중 하나로 설명하는데 이것이 바로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입니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대표적인 예시는 무엇인가요? 대표적인 예시로는 강화물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강화물이란 특정행동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자극을 말하는데요. 쉽게 말하면 게임머니나 돈처럼 내가 원하는 행동을 하게 만드는 수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무조건 강화물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처벌 또한 강화물로써 작용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경우에 강화물이 될 수 있을까요? 우선 긍정적인 강화물인 정적강화란 좋아하는 활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처럼 좋은 일을 함으로써 얻는 결과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부정적인 강화물인 부적강화란 싫어하는 활동을 피함으로써 얻는 결과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즉, 음식을 먹기 싫은 아이에게 억지로 먹이는 것보다는 사탕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겠죠?

 

마지막으로 소거란 이미 형성된 반응을 약화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만약 A라는 행동을 했는데 B라는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한다면 이전에 했던 A라는 행동은 점차 사라지게 되겠죠?

 

그렇다면 왜 이렇게 강화물을 활용할까요? 인간에게는 동기부여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데요. 동기는 크게 내적동기외적동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적동기는 스스로 원해서 하는 행위이고, 외적동기는 외부로부터 부여받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따라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해야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죠? 그러나 모든사람이 다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하면서 살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외적동기를 통해서라도 무언가를 성취하고자 하는데요. 이때 많은 사람들이 외적동기를 얻기위해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곤 합니다. 그것이 바로 강화물이죠. 물론 과도한 강화물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지만 적절히 사용한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스몰스텝

스키너라는 심리학자가 한 말 중에 유명한 말이 있죠. “사람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일들을 해내는 방법은 두가지다. 첫째는 그냥 하는 것이고, 둘째는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다.” 이 말처럼 사람들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만 대부분 실패하곤 합니다. 하지만 작은 행동이라도 꾸준히 실천한다면 어떨까요?

 

우리 모두에게는 각자만의 꿈이 있고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지만 그것을 이루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저는 ‘스몰 스텝’이라는 책을 읽고 나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작은 행동이란 무엇인가요? 저자는 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애쓰는 대신 아주 작은 행동을 매일 반복하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공부를 하고 싶다면 하루에 단어 5개 외우기, 운동을 하고 싶다면 팔굽혀펴기 1회 등과 같이 작지만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조금씩 실행하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부담감 없이 지속적으로 무언가를 해낼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저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존감 향상 및 삶의 만족도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책에서는 총 8단계의 스몰 스텝 전략을 제시하는데요.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단계: 두려움을 몰아내고 창조력을 고무시키는 작은 질문을 던진다.
  • 2단계: 새로운 기술과 습관을 개발하기 위해 작은 생각을 품는다.
  • 3단계: 성공이 보장된 작은 행동을 시작한다.
  • 4단계: 위기에 직면했을 때 작은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
  • 5단계: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스스로와 다른 이에게 작은 보상을 한다.
  • 6단계: 모두가 무시하고 있는 결정적인 작은 순간을 찾아낸다.
  • 7단계: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고 꿈을 향해 빠르게 나아갈 수 있는 작은 길을 만든다.
  • 8단계: 목적지를 향한 여정을 즐긴다.

 

위 내용을 요약하자면 결국 작고 사소한 도전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것이 최종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입니다. 처음엔 너무 작아보여서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막상 시도해보면 결코 작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쌓이면 엄청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겠죠. 여러분도 지금 당장 나만의 스몰 스텝을 정해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교육학자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제안했습니다. 이론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 태도, 그리고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학습하고 자신의 행동을 바꾸게 되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론의 핵심 개념은 모델링입니다. 즉,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모방하여 학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론은 또한 동기, 인지적 프로세스, 그리고 대처 전략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사회적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반두라는 이론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제시했습니다.

 

  1.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

알버트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서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관찰학습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 언어, 태도, 그리고 환경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학습하는 것입니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며 학습합니다.

관찰학습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1. 모델링(Modeling): 모델링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 언어, 태도, 그리고 환경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상상하거나 추상적인 것일 수도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 없이도 학습이 가능합니다.
  2. 관찰(Observation): 관찰은 모델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언어적 행동(예: 몸짓, 표정)과 언어적 행동(예: 대화)을 모두 포함합니다.
  3. 인지적 처리(Cognitive processing): 관찰한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관찰학습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은 정보를 인식하고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을 말합니다.
  4. 모티베이션(Motivation): 모델의 행동에 대한 동기부여는 관찰학습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동기부여는 보상, 강화, 그리고 규범에 따라 다르며, 모델의 행동에 대한 관심과 학습에 대한 의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반두라는 관찰학습을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를 토대로 모델링 기법을 교육 및 집단 치료 분야에 적용하여 대규모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회학습 이론은 교육 및 치료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회학습이론은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데에 유용한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론은 특히 교육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예를 들어 교육 방법론,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평가를 개발하는 데에 적용됩니다.

 

 

2. 강화(Reinforcement)

 

알버트 반두라의 강화(Reinforcement)는 특정한 행동이나 반응이 발생하면 그것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행동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특정한 결과에 대한 경험이 그 행동을 더 자주 발생시키도록 합니다.

반두라는 강화를 양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와 음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로 구분하였습니다. 양적 강화는 어떤 행동이 일어나면 그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여 그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음적 강화는 어떤 행동이 일어나면 그에 대한 부정적인 자극을 없애거나 줄여서 그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반두라는 강화가 학습과 행동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어떤 행동이 강화를 받으면 그 행동은 더 자주 나타나게 되고, 강화를 받지 못하면 그 행동은 적게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반두라는 교육 및 집단 치료 분야에서도 다양한 기법을 개발하였습니다.

 

 

3. 인지적 프로세스(Cognitive processes)

 

알버트 반두라의 인지적 프로세스(Cognitive Processes)는 개인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처리하고, 기억하며, 이를 바탕으로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인지적 프로세스는 개인이 정보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반두라는 인지적 프로세스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설명하였습니다.

  1. 인지적 매개변수(Cognitive Mediators): 인지적 매개변수는 개인이 정보를 처리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중간 매개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비교를 통해 자신의 성취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인지적 매개변수의 하나입니다.
  2. 인지적 구조(Cognitive Structures): 인지적 구조는 개인이 정보를 조직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과 관련된 스키마(Schema)라는 개념은 인지적 구조에 해당됩니다.
  3. 인지적 능력(Cognitive Abilities): 인지적 능력은 개인이 정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 학습능력 등은 모두 인지적 능력에 해당됩니다.

반두라는 인지적 프로세스를 통해 인간의 학습과 행동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기반을 둔 사회학습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이론은 교육, 심리치료,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